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러시아의 침공으로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지난달 3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분석했다.
지난 6월부터 시작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 작전에 대해 두 위원은 “생각했던 것보다 우크라이나 대반격 작전의 효과가 당장은 크지는 않다”고 설명했다.
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점령지역 중심 돌파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“우크라이나군의 군사력이 압도적이지 못하기 때문”이라고 지적했다.
이어 두 위원은 “러시아군은 1일 평균 5만 발에서 많게는 7만 발까지 (155mm) 포병 탄약을 활용하고 있다”고 설명하며 “우크라이나군은 하루 평균 5천 발에서 7천 발 정도를 활용하고 있다. 결국 포병 전력이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것”이라며 우크라이나의 부족한 군사력을 꼬집었다.
러시아군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묻자 두 위원은 “(가장 큰 이유는) 병력 자원 보충이 쉽지 않다는 것”이라며 “현재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병력이 30만 명 정도가 항상 투입이 되어야 되는데, 그 병력을 유지하기가 굉장히 어려워 보인다”고 덧붙였다.
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실제 전황 분석, 영상을 통해 확인하자.
임승범 기자